관심종목 SFA반도체, 그리고 per?
SFA반도체
- 반도체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와 판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.
- 충남 천안시 서북구 백석공단7로 16에 위치하며 1998.06.30 설립, 2001.05.02 코스닥시장에 상장했습니다.
- 반도체 산업의 후공정 분야인 반도체조립 및 TEST제품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.
- 삼성전자,SK하이닉스 등 세계 유수의 반도체 업체들에게 최첨단 반도체 패키징 설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재무제표 |
2016.12 |
2017.12 |
2018.12 |
2019.12 |
당기순이익 |
76 |
99 |
133 |
|
순이익률 |
1.77 |
2.20 |
2.90 |
|
부채비율 |
148.98 |
134.75 |
118.05 |
|
유보율 |
228.98 |
245.20 |
261.62 |
|
PER |
50.15 |
34.83 |
15.27 |
|
PBR |
1.40 |
1.32 |
0.72 |
|
저 같은 경우에는 부채나 유보율, 당기순이익을 중점적으로 보고
PER이나 PBR은 참고용으로 많이 보고 있습니다.
SFA반도체의 경우에도 과거 1-2년 전을 기준으로 봤을 때
50이 넘는 PER를 보고 투자를 하기에는 어렵기 때문입니다.
하지만 지금 5,000원선을 드디어 깼고
매우 유의미한 주가라고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.
(3,000원일 때부터 sfa반도체를 구매한 저로써는)
사실 몇 달 전만 하더라도 3100원 초반대의 금액으로 SFA반도체를 샀었습니다.
3600원까지 올라갔을 때만 해도 매우 큰 상승이라고 생각해서
조금의 수익을 보고 팔았는데
지금 이 시점에서 생각해보면 매우 아쉽습니다.
하지만 다른 의미로 재무제표를 짧게나마 보고 매입한 주식인
SFA반도체가 맞았다고 생각했고
그때보다는 많이 오른 금액인 4600원에 매입했음 해도 불구하고
현재 15% 넘는 수익이 발생 중입니다.
나중에 좀 더 주가가 내린다면
추가 매수할 예정입니다.
현재는 너무 많이 올라 추가 매입이
좀 부담스러운 상황이기 때문입니다.
장 초반에 비해 오후가 될수록 주가가 많이 내렸습니다.
오전에 평균 수익률이 10프로가 넘는 것을 보고 감격하여 사진을 찍어두었습니다.
지금은 수익률이 좀 더 내려갔지만
나중에는 더 큰 수익을 줄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.
요즘 삼성전자주가에 대한 말이 많습니다.
분할 전 가치로 환산하면 300만 원이 넘는 금액이라고 합니다.
어떤 사람은 고점이라고 하지만
우리나라에서 삼성만큼 믿을 수 있는 기업은 별로
많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
저 역시 59000원이라는 높은 가격에 매수했지만
매일매일 신고가를 갱신하며
수익률을 높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.
좋긴 하지만 추가 매수할 기회가 안 보여
조금은 내려갔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했습니다.
그래서 가격이 좀 더 내려가면 5주 정도 더 매수하려고 합니다.
오후에는 한전 KPS 주식을 9주 매수하였습니다.
저는 매수할 때 50원에서 100원 단위로 쪼개어 매수를 합니다.
한 금액으로 너무 많이 매입을 했을 때
주가가 내려가면 타격이 크기 때문입니다.
오늘도 38400원~38500원의 가격으로 매수하였습니다.
배당금이 크던데 꼭 다음 해에 배당금을 두둑이
받을 수 있을 만큼 많이 샀으면 좋겠습니다.
2020.01.20 매매일지
보유종목 | 평가손익 | 수익률 | 보유수량 |
삼성전자 | 10,800 | 6.1 | 3 |
삼성전자우 | 4,800 | 3.16 | 3 |
명성티엔에스 | 27,950 | 16.39 | 8 |
SFA반도체 | 11,845 | 17.16 | 15 |
덕산네오룩스 | 13,300 | 10.02 | 5 |
한전KPS | 50 | 0.01 | 6 |
주식 개념 플러스
PBR(Price To Book Ratio-주가순자산비율)
-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비율로
주가/주당순자산의 값으로 산출
- **낮을수록 좋다
- 단, 높은 경우 이미 고평가 되었다고 볼 수도 있지만
미래성장성이 큰 기업은 PBR이 높은 경향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.
(저도 많이 알진 못하지만 대기업의 경우에는 PBR이나 PER로 접근하는 게 큰 의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.)
PER(Price earning ratio-주가 수익비율)
- 주식의 주 당시가를 주당 이익으로 나눈 수치로,
주가가 1주당 수익이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낸다.
- 주가/주당순이익의 값으로 산출
- **낮을수록 좋다
ROE(Return On Equity-자기 자본 이익률)
- 자기 자본을 이용해 1년간 얼마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
- (당기순이익/자기 자본)*100의 값으로 산출,
- **높을수록 좋다! 이익은 많이 내면 낼수록 좋으므로